홈다음 화살표

사업안내

다음 화살표

성장지원사업

성장지원사업

현장 수요기반 경력개발 지원 서비스로 과학기술인 경력성장을 도모합니다.

경력개발 종합지원 플랫폼 ‘K-클럽’

  • 소개
    • - 과학기술인 全생애주기 경력개발 지원을 통한 지속활약 기반 확충
    • - 경력개발 대상별 특화 서비스 제공으로 자기주도형 경력개발 활동 정착 지원
  • 메뉴 구성
    이 표는 역량진단, 멘토링, 경력사례, 채용정보, 커뮤니티 등의 과목으로 나누어 표현하였다.
    역량진단멘토링경력사례채용정보커뮤니티
    1. - 재직자(기본/심화)
    2. - 대학원생(기본/심화)
    1. - 개인 멘토링
    2. - 그룹 멘토링
    1. - 인터뷰
    2. - 스토리
    1. - R&D JOB/하이브레인넷
    2. - 일자리백서
    1. - 자유게시판
    2. - 소모임라운지
    3. - 조사패널라운지
    연구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진단취업, 경력 등 맞춤형 상담지원경력단계별 현장 노하우 담은 콘텐츠 제공이공계 특화 채용정보 및 공공기관 일자리 정보 제공과학기술인 간 정보교류 및 소통의 장
  • 역량 진단 서비스
    • - 연구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스스로 체크해볼 수 있는 기회 제공
    • - 2type(간단형/심화형) 역량진단 서비스 제공
    이 표는 구분, 과학기술분야 재직자 역량 진단, 이공계 대학원생 역량 진단 등의 과목으로 나누어 표현하였다.
    구분과학기술분야 재직자 역량 진단이공계 대학원생 역량 진단
    설명직무(연구직, 연구행정직)와 경력단계(원급, 선임급, 책임급, 보직자)에 따라 차별화된 진단 기회 제공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스스로 점검해볼 수 있는 기회 제공
    요소R&D역량, 리더십 역량, 공통역량문제해결, 대인관계, 의사소통, 자기관리, 연구실무
    특징
    1. - 맞춤형 문항 제시
    2. - 경력단계별 리더십 역량 진단 가능
    3. - 개인진단 결과 보고서 제공
    1. - 강점·약점 역량 제시
    2. - KIRD 교육과정 추천
    3. - 개인진단 결과보고서 제공
  • 경력개발 멘토링
    • - 과학기술인 경력 목표 설정 및 경력개발 활동 지원
    • - 국내외 산·학·연 분야별/경력단계별 전문가 140여명 활동 중
    이 표는 유형, 그룹멘토링 - 공모형, 그룹멘토링 - 대학 협력형, 개인 멘토링 등의 과목으로 나누어 표현하였다.
    유형그룹멘토링 - 공모형그룹멘토링 - 대학 협력형개인 멘토링
    목표
    1. 대학원생 대상 경력 탐색 및 질의 응답 기회 제공
    1. 대학 경력개발센터 협업 맞춤형 진로 설계
    1. 전생애주기 과학기술인 대상 1:1 경력 상담 제공
    참여 주체
    1. KIRD가 자체 공모하여 멘토1 대 멘토 다수로 제공하는 멘토링 유형 제시
    1. KIRD와 대학이 협력하여 멘토1 대 멘토 다수로 제공하는 멘토링 유형 제시
    1. KIRD가 제공하는 1대 1 멘토링 유형 제시
  • 경력개발 자가설계 교육
    • - 과학기술인 경력단계를 고려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경력설계 지원
    • - 학습 효과성 강화를 위해 플립러닝을 적용한 사전-본-사후 3단계 교육 운영
    이 표는 과정, 석·박사 대학원생, 재직자, 고경력자 등의 과목으로 나누어 표현하였다.
    과정석·박사 대학원생재직자고경력자
    목표<경력형성>
    미래 경력개발 로드맵 설계
    <경력심화>
    핵심 인재 성장 위한 경력계획 수립
    <경력전환>
    은퇴 후 생애설계 및 사회재참여 준비
    방식석·박사 대학원생, 취업준비생과기분야 재직자
    (연구직/행정직, 입직 10년 내외)
    과기분야 고경력자
    (퇴직 3년 이내 예정자)
    구성·절차
    • 사전교육 (온라인)

      1. - 개인별 역량/경력 진단
      2. - 온라인 영상 콘텐츠 학습
    • 본교육 (온라인)

      1. - 경력개발 계획 수립
      2. - 경력경로별 선배/전문가 그룹 멘토링, 전문역량 강화
    • 사후교육 (온,오프라인)

      1. - 선배/전문가 1:1 코칭
  • 경력사례
    • -다양한 전공/경력을 보유한 선·후배, 동료들의 경력개발 노하우, 유망기술·융합분야 소개 등 사례를 통한 경력설계 방향 수립 지원

KIRD 과학기술 인재개발 조사

  • KIRD 교육생 및 수혜기관 대상의 인재개발 활동 현황 및 지원 요구사항에 대한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 실시
  • 객관적 근거 기반의 과학기술 인재개발 정책 수립 지원 및 기관 교육·사업 기획에 반영

포용성장 전문연구인력 양성사업

  • 사업목적
    • - 우수 장애 과학기술인 양성 및 지속가능 고용 생태계 구축을 통한 연구기관 우수 인재 확보 지원
  • 지원대상
    • - 이공계 장애 대학생, 대학원생, 졸업 후 미취업자
  • 추진근거
    • -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 특별법」제 21조(이공계인력 수급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 - 「과학기술기본법」제 22조(과학기술진흥기금)
    • - 「과학기술기본법」제 23조(과학기술인력의 양성·활용)
  • 사업내용
    • - 이공계 장애 대학(원)생 역량개발 프로그램 제공
    • - 이공계 장애 대학(원)생 경력개발 프로그램 제공
    • - 이공계 장애 대학(원)생 실태 조사 및 장애 지원 온라인 콘텐츠 개발
    • - BF 컨설팅 제공 및 장애 대학(원)생 지원 전문가 협의체 운영

1. 장애 학생 R&D 역량 제고

  • 장애 대학(원)생 출연(연) 현장 실습
  • 장애-비장애 학생 팀 프로젝트
  • 장애 대학(원)생 출연(연) 탐방
  • 장애 대학(원)생 경력 설계 멘토링

2. 장애 학생 지원 기반 확충

  • 장애 대학(원)생 경력개발 실태 조사
  • 장애 지원 및 인식 개선 온라인 콘텐츠
  • 장애물 없는 연구 환경 조성 컨설팅
  • 장애 대학(원)생 지원 전문가 협의체
  • 문의처
    • - 경력성장실 이채안 전문관리원(042-820-4051, calee@kird.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