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title

VoL 132. April 2023

과학기술 이야기

과학기술인의
Chat GPT 활용법

이제현 책임연구원, jehyunlee@kier.re.kr

“ChatGPT, 직접 사용하며 느껴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공계 연구자 여러분, 연구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바로 ChatGPT입니다. 이제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미래의 혁신을 만들어 보세요!’ ChatGPT가 작성한 기사 도입부입니다.
ChatGPT를 활용해 어떤 혁신을 만들 수 있을까요?
한국에너지연구원의 데이터 분석 전문가 이제현 박사님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소재, 반도체 연구를 거쳐 데이터 전문가까지

소재, 반도체 연구를 거쳐
데이터 전문가까지

Q.

이제현 박사님, 안녕하세요. 먼저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이제현입니다. 재료공학과 고체물리학을 전공했고,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를 거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Q.

현재 어떤 연구를 진행하고 계신가요?

제가 속한 계산과학연구실은 원내 다양한 부서들과 협업을 통해 연구 생산성을 높이는 일을 맡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수집되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연구를 주로 해왔고, 올해부터는 저희 연구원이 신동에 구축하고 있는 태양광기업 공동활용센터의 준양산 데이터를 대상으로 선진 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이외에도,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연구데이터시스템을 구축했고, 작년부터는 행정, 인프라 부서와의 협업을 진행하며 업무자동화(RPA)와 자연어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원의 ‘채용 검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해, 연구행정혁신 성과확산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ChatGPT 활용한 문서작성 꿀팁, 사실 검증 필수

ChatGPT 활용한 문서작성 꿀팁,
사실 검증 필수

Q.

최근, 대화형 인공지능(AI) ChatGPT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간단히 설명해주신다면?

2년 전 GPT3라는 이름의 언어모델이 나왔습니다. 자연스러운 텍스트를 만들어내는 언어 모델로, 지문 생성, 번역, 요약 등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습니다. ChatGPT는 GPT3를 한 단계 발전시켜 가치관에 부합하는 답변을 유도하였고, 챗봇의 형태를 갖추어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입니다.

Q.

ChatGPT를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출처: 이제현 책임 강의자료


ChatGPT는 글을 생성하는 인공지능이므로 글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어떤 것이든 주제에 대해 지정한 분량으로 글을 작성하기 때문에 이메일이나 제안서 등의 초고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같은 내용도 전문적인 글, 대중적인 글 등 대상에 따라 다양한 어조로 변환 가능합니다. 코딩도 잘 합니다. “~하는 파이썬 코드를 짜 줘” 식으로 명령을 하면 내가 잘 알지 못하는 분야의 코드를 금세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명심해야 할 내용이 있습니다. 바로 사실 확인과 검증, 팩트 체크인데요. 엄청난 데이터를 학습했지만 모든 데이터를 외우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학습된 과거의 사실(예: 우리 나라의 역대 대통령과 재임기간)도 엉뚱하게 말하기도 하고, 외부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터넷 기사의 링크를 준다고 기사를 읽을 수 없습니다. 기사 링크로부터 대강의 내용을 추정해 엉뚱한 내용을 써내려가기 때문에 사실 확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Q.

박사님께서 연구나 업무에 ChatGPT를 활용한 사례가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과제제안서나 보고서를 작성할 때 내용은 있는데 글이 잘 만들어지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 ChatGPT에게 초안을 쓰라고 하면 내용의 사실 유무나 품질을 떠나 일단 적당한 분량의 문단을 만들어줍니다. 이를 읽으면서 잘못된 내용을 고치고 나의 아이디어와 연구 내용을 담아서 작성한 적이 있습니다. 논문 제출 시 Cover Letter 작성에 사용했습니다. 어렵다기보다 귀찮고 신경이 쓰이는 일입니다. 형식적인 행정작업에 가깝지만 저널 에디터에게 호의를 보이는 내용을 정중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ChatGPT에게 분량과 내용을 지정하여 작성시킨 후 다듬어 제출했습니다. 코딩을 할 때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저는 데이터 분석이나 머신 러닝 모델링쪽을 주로 했기 때문에 다른 웹 사이트의 내용을 가져오거나 직접 웹사이트를 만드는 일은 초보자 수준입니다. 그러나 ChatGPT의 도움을 받아서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Q.

ChatGPT를 업무에 활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ChatGPT의 한계를 명확하게 인지해야 합니다. 사실과 허구를 섞어 이야기한다는 점, 그리고 외부 인터넷과 단절되어 있다는 점, 2021년 까지의 내용만 학습되어 있다는 점을 인지하시면 유의할 사항을 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사실성이 중요한 일 (예: 테슬라 이번 분기 매출이 얼마야?), 숫자 계산이 필요한 일은 정확히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활용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ChatGPT의 답변에 섞인 거짓을 골라내기 위해 사실 확인과 검증 과정이 필요합니다.


출처: 이제현 책임 강의자료


특히, 전문적인 판단이 필요한 일(예: 회사의 향후 전략 등)은 ChatGPT에게 양질의 답변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ChatGPT가 내놓는 답이 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거짓이 섞인) 보편적인 지식 수준에서 답을 하기 때문에 문장이 자연스러울 뿐 내용을 뜯어보면 별로 주의를 기울일만한 것이 없습니다. ChatGPT의 답변에 본인의 지식과 감각을 담아야 비로소 의미가 있습니다.

데이터를 활용한 업무 생산성 높이기, 일단 시도해보세요

데이터를 활용한 업무 생산성 높이기,
일단 시도해보세요

Q.

ChatGPT 외에도, 데이터를 활용한 업무효율화 방안을 추천해 주신다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까지 활용하면 더 복잡한 업무까지 처리 가능합니다. 업무에 맞게,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흐름을 잘 설계하시면 업무 효율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업무 관련 외국 기사를 빠르게 읽고 업무에 적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를 활용해 볼 수 있어요. 참고문헌 수집, 요약, 번역 등 목적에 맞는 API를 사용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직접 사용해 본 결과 Perplexity(참고문헌 수집), TLDRThis(요약), DeepL(번역)이 활용도가 높았어요. 이외에도 Open API Hub인 Rapid API(https://rapidapi.com/)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출처: 이제현 책임 강의자료

Q.

ChatGPT를 활용하고자 하는 과학기술인분들께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ChatGPT는 시시각각 업데이트되고 있어 특정 커리큘럼으로 다루기 어렵고 자료와 사이트 역시 아무리 좋아도 그 당시에만 의미가 있을 뿐 앞으로는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SNS나 유튜브 등에 올라오는 글도 많지만 조회수를 위해 자극적인 내용을 싣기도 하고 틀린 내용도 많이 있습니다. 직접 사용해보시고 사실 검증을 하시면서 느껴 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업무를 하면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불 만을 구체화해보세요. 그리고 ChatGPT나 API를 활용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흐름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