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26 · September 2022
KIRD에서 ‘S&T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을 주제로 2022년 제1호 R&D HRD Research & Field를 발간했습니다.
연구자가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출발점인 ‘연구몰입’으로 포문을 연 이번 창간호는, 국내·외 R&D 인력 분야 주요 연구결과와 KIRD 연구진의 인사이트로 구성된 Research Review 코너로 독자분들을 맞이합니다. 신진연구자가 완전한 연구실 참여자로 거듭나는 과정을 담아낸 정체성 형성 시기, 연구 성과 공유 및 지식과 연구노하우 더하기를 통한 전문성 축적 시기부터 멘토·멘티 모두에게 유익한 멘토링을 통한 전문성 확장하기까지의 과정을 담았습니다.
KIRD에서 직접 수행한 R&D 연구를 기반으로 한 KIRD Research Review 코너에서는 우수 연구자로서 성장하기 위한 ‘치트키’로 #집중적 연습, #실패 극복의 탄력성, #멘토, 동료 #긍정적 경험을 소개합니다. 아울러 독립연구자이자 핵심 연구자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판으로 ‘박사학위 후 5년’을 꼽아, 이 시기의 적절한 경력설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짚고 있습니다.
R&D 인재개발 현장의 모습을 담은 Field Review 코너는 전문가 인터뷰 및 KIRD 교육·사업 소개를 통해 과학기술인의 전문성 축적 방법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벨화학상에 가장 근접한 한국인’으로 불리우는 서울대학교 현택환 교수와는 연구자가 왜 새로운 분야에서 고군분투해야 하는지 들어봤고요, 매년 대상과 방식을 확대하고 있는 KIRD ‘생애주기별 맞춤형 과학기술인 경력개발 멘토링’ 프로그램과 KIRD 멘토링만의 스페셜리티인 ‘이공계 특화형 멘토’에 대한 소개 또한 담아봤습니다. 나아가 경력개발을 연구자 전문성 개발의 해법으로 제시하여 연구자 전문성 개발이 갖는 의미부터 경력개발 성공 요인까지, 연구자 전문성에 대한 밀도 높은 이야기로 채웠습니다.
이번 R&D HRD Research & Field가 독자분들이 KIRD에서 수행하는 교육·연구사업에 대한 이해를 더하고, 나아가 과학기술인 R&D 인재양성 혁신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