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26 · September 2022
「KIRD 인재성장브리프 | 이슈분석」에서는 지역 R&D 성장의 중요성과 함께 지역 R&D 현주소를 짚어보고, 지방자치단체의 R&D(연구개발) 사업 발전의 근간이 되는 정책입안 및 관리자의 역량 개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합니다.
현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를 통한 지역주도 혁신성장 실현’이 제시되었습니다. 이에, 각 지자체는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 및 기술 기반 신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지역기업은 인재 채용에 어려움을 겪는 등 현실은 녹록지 않은 상황입니다.
본 고에서는 EU의 지역 내 클러스터, 협력 모델 등을 살펴보고, 특히 강소기업이 지역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인재들을 지역에 정착시키는 데 성공한 독일의 사례를 통해 각 주체간 유기적 협력을 통한 지역 혁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지역 혁신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역할과 더불어, 지역 발전의 핵심주체인 정책입안 및 관리자들의 인적역량 강화가 왜 필요한지 살펴보고, 국내·외 사례분석을 토대로 지역 R&D 기획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시사점을 제시하였습니다.
최근 지방소멸 위기를 타개하고 지역산업 활성화 및 지역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지역주도 R&D’가 주목받고 있음
국내 R&D 역량 현황에 대한 ‘투입, 활동, 성과’ 지표를 살펴본 결과, 인력, 조직 등 투입측면의 기반이 갖춰졌을 때 새로운 지식을 창출·활용하는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지식·경제적 성과로 연결될 수 있는데, 현재는 R&D 역량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역과의 격차가 큰 상황
이에, 지역산업 활성화에 직접 기여하는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지자체 정책입안 및 관리자가 지역 R&D 기획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및 프로그램 제시
해외에서는 EU, 독일 등에서 지역 내 클러스터, 협력 모델 등을 통해 지역의 자생력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램 제공, 정책 마련, 예산 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역 대학과 R&D 혁신기관이 협업하는 사업모델을 추진중이나 아직까지는 지역 간 혁신역량이 큰 상황
독일의 경우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기술을 중심으로 대학은 인재를 양성하여 기업에 공급하고 연구소에서는 기술개발과 이전을 통해, 지역 내 강소기업(히든 챔피언 등)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음
산·학·연·관의 상생 협력관계 형성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지역의 정책입안 및 관리자들이 R&D 기획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음
중앙정부 및 지자체, 산·학·연 등 각 주체간 역할을 재정립하고, KIRD는 지역 R&D 발전의 핵심인 인적자본 역량의 향상을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성장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중앙정부 및 지자체) 각 지역별로 산·학·연이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막고 지역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개선 필요
(산·학·연) 지역과 밀착하여 기업, 대학, 연구소가 실무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 내 우수인재 양성 및 지역기업 정착에 기여하여 지방소멸의 위기로부터 돌파구를 찾을 필요가 있음
(KIRD) R&D를 통한 지역혁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 역량 제고가 필수적이며, 국내·외 프로그램 탐색 결과 지역 내, 지역 간 초광역 소통과 협력을 통한 학습 시너지 창출의 필요성이 도출되었으므로 지역 단위의 소통 채널 및 R&D분야 정책 기획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프로그램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 2020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통계표).
김성진 외. (2020). 2020년 지역 R&D혁신체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매일경제. 동남권 대경권 성장잠재력 지속 하락... “기술혁신 뒤처져”. 매일경제, 2022년 4월 17일자 기사.
박진경. (2021). 지역 청년인구 유출과 지자체의 대응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산업연구원. (2022). 지역 성장 잠재력 분석과 지역산업정책 과제. 산업연구원.
안상미. 독일 아헨공대처럼..."좋은 대학 하나가 도시 먹여살린다". 한국경제신문, 2020년 5월 18일자 기사.
안지혜, 김동현, 이윤빈. (2021). 2020년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평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오서연, 김성진, 김동현. (2022). 2021 지방과학기술연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오세홍, 김양수, 박석종. (2012). 지역 R&D 생태계 활성화와 지역공공 R&D조직의 역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센터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2012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361-373.
오세홍 외. (2013). 지역 R&D 전담기관 설립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우명균. 충남도 미래산업 발굴 전문가 정책 토론회 개최. 충남일보, 2022년 1월 23일자 기사.
윤재현.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대학 R&D 씨앗기획사업 본격 추진. 전기신문, 2022년 4월 12일자 기사.
이민호. 정책좌담회 ‘과학기술과 지역은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산학뉴스, 2020년 12월 1일자 기사.
이선우, 류도암. (2015). 지방자치단체 공직개혁의 주요 쟁점과 방향: 공무원 역량강화의 장애요인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9(2), 3-29.
이유진. 정부의존 없다...100% 민간조달, 연 2000개 프로젝트 수주 비결?. Hello DD, 2022년 7월 18일자 기사
조세현, 차세영. (2020). 개방형 정부혁신을 위한 정책랩(Policy lab) 활성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홍석호. 비수도권 소재 기업 10곳 중 7곳 “지방소멸 위협 느낀다”. 동아일보, 2022년 2월 27일자 기사.
Asheim, Bjørn T. and Arne Isaksen. (2002).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 integration of local “sticky” and global “ubiquitous” knowledg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7(1), 77-86.
Interreg Europe. (2021). Cooperation programme document. Interreg Europe.
Interreg Europe 홈페이지, https://www.interregeurope.eu/interreg-europe-2014-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