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 역량모델
- 과학기술인 직무유형 연구직, 연구행정직, 연구관리직으로 구분
- 과학기술인 경력단계 업무역할 기반 보직자(경영진), 책임자(관리자), 실무자, 예비 과학기술인으로 정의
- 과학기술인 역량 공통역량, R&D역량, 리더십역량의 3개 역량군으로 분류
- 직무유형
- 연구직 : 산학연 연구기관 소속으로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자
- 범위 : 출연(연) 및 공공연구기관,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직 및 기술직, 대학 전임교원 등
- 연구행정직 : 산학연 연구기관 소속으로 계약, 예산, 인사 등 연구행정(지원)을 담당하는 자
- 범위 : 출연(연) 및 공공연구기관, 연구관리전문기관 행정직, 대학 산학협력단 행정직 등
- 연구관리직 : 연구관리 전문기관 소속으로 국가R&D 사업을 기획, 관리, 평가 업무를 수행하는 자
- 범위 : 연구관리 전문기관 PM 및 담당자 등
- 경력단계
- 보직자 : 팀/실/본부장 등 직책에 임명된 보직자
- 책임자 : 연구과제 책임자 또는 연구행정(지원) 업무 관리자
- 실무자 : 연구과제 참여자 또는 연구행정(지원) 업무 담당자
- 예비 과학기술인 : 과학기술계 입직을 희망하는 학생연구원 등 대학(원)생
- 역량구분
- 공통역량 : 과학기술인 모두가 필수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8개 역량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과학기술인 역량모델 역량구분 중 공통역량 | [역량군][구분] ■ 공통역량(8) | [역량] ■ 전문성, 책임감, 의사소통능력, 성취지향성, 창의성, 팀워크, 융합적사고, 윤리의식](/html/portal/images/v1_con_03.png)
- R&D역량 : 직무유형 관계없이 R&D 수행에 필요한 9개 기본역량, 연구직/연구행정직/연구관리직 각 직무에 특화된 63개 전문역량으로 총 72개 역량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과학기술인 역량모델 역량구분 중 R&D역량 | [역량군][구분][역량] ■ R&D역량(72) | ■ 기본역량(9) → 정보분석력, 문서작성능력, 통계활용능력, 기획력, 업무추진력, 지적호기심, 전략적사고, 통찰력, 자원관리능력 | ■ 전문역량(63) → 연구직(17) → 연구기획(Plan) → 과학기술정책분석, 연구개발동향분석, 기술수요분석, 과제기획서작성, 과제타당성분석, 연구전략수립, 성과활용계획수립, 기술로드맵수립 | 수행·관리(Do) → 연구보고서작성, 연구일정관리, 연구과제자원 관리, 연구리스크 관리 | ■ 성과확산평가(See) → 성과평가대응, 평가환류, 기술가치평가, 기술마케팅, 기술사업화 | ■ 전문역량(63) → 연구행정직(29) → 기획관리 → 경영전략수립, 국제협력사업 관리, 연구과제 선정·계약, 연구과제 수행관리, R&D성과평가대응 | 성과확산 → 성과분석, 성과창출관리, 기술창업이전사후관리 | ■ 예산·재무 → 예산전략수립, 예산집햅관리, 회계관리, 결산관리, 세무관리 | ■ 구매·자산·홍보 → 자산취득처분, 구매품품질관리, 구매전략수립, 구매원가관리, 구매계약, 발주관리, 홍보 계획수립, 홍보·행사운영 | ■ 인적자원 → 인사기획, 인력채용, 인사평가, 교육훈련, 급여관리, 복리후생, 노무관리, 퇴직관리 | ■ 전문역량(63) → 연구관리직(17) → 기획 → 정책방향수립, 과제기획, 과제타당성분석, 기술동향분석, 자원배분계획수립, 제안요구서작성, 평가단 구성·관리 | ■ 과제관리 → 사업공고 및 선정평가, 협략관리, 진도관리 및 현장점검, 연구과제평가, 연구개발비 정산 | ■ 성과확산 → 성과활용 계획수립, 연구성과 활용분석, 연구성과관리,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제도개선 및 법령입안](/html/portal/images/v1_con_04.png)
- 리더십역량 : 예비 과학기술인, 실무자, 책임자, 보직자 경력단계별 역할수행을 위해 필요한 15개 역량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과학기술인 역량모델 역량구분 중 리더십역량 | [역량군][구분][역량] ■ 리더십역량(15) | ■ 보직자(경영자) → 비전제시공유, 혁신관리, 조직관리, 합리적의사결정 | ■ 책임자(관리자) → 목표관리, 변화관리, 동기부여, 권한위임 | ■ 실무자 → 자기관리, 솔선수범, 업무협력, 조직이해 | ■ 예비 과학기술인 → 자기주도적학습, 문제해결능력, 진로개발](/html/portal/images/v1_con_05.png)
역량기반 교육체계
- 역량모델을 적용해 교육과정을 기본교육/전문교육/특별교육 구분하여 운영
- 기본교육
- 박사후 연구원부터 은퇴 예정자까지 경력단계별 공통/리더십/R&D역량 교육
- 전문교육
- 산·학·연 연구직 및 연구행정직 대상의 R&D역량 특화 교육
- 전문공통 : 공통역량 및 R&D기본역량 개발을 위해 연구직 및 연구행정직 모두 참여 가능 교육
- 연구직 : 연구기획, 수행·관리, 성과확산·평가의 연구개발 전주기별 R&D전문역량 개발 교육
- 연구행정직 : 기획관리부터 인적자원까지 연구행정 분야별 R&D전문역량 개발 교육
- 특별교육
- 정규교육 이외의 수탁교육 및 정책수요교육 등 수요 맞춤형 교육
- 수탁교육 : 특정분야 전문인력 육성 또는 역량개발을 위한 외부 교육사업 공모에 참여해 수주한 교육
- 정책수요교육 : 국가종합계획 및 법률, 정책 등 국가 아젠다에 의해 설계·운영하는 교육
집합교육 총괄표
스마트교육 총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