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공통 |
경력개발 자가설계 과정(이공계 석박사) |
동기, 가치관, 관점, 잠재력 등 나의 강점을 이해하고 미래 경력개발 로드맵을 설계한다. |
이공계 석박사 재학생, 포닥, 취업준비생 |
경력개발 자가설계 과정(재직자) |
과학기술분야 재직자의 강점기반 경력개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구체적인 미래경력을 설계한다. |
산학연 과학기술분야 재직자 |
경력개발 자가설계 과정(고경력자) |
과학기술분야 고경력자의 자기성찰 및 경력재탐색을 통해 은퇴에 대한 불안감 해소 및 능동적 경력전환을 준비한다. |
산학연 과학기술분야 재직자 |
국가R&D 리얼챌린지 |
예비 과학기술인의 연구현장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R&D 기획 실전역량을 강화한다. |
이공계 석·박사 및 2년 이내 미취업자 |
R&D필수 아카데미 |
과학기술인의 연구개발 수행 및 관리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필수역량을 강화한다. |
산·학·연 소속 과학기술인 |
인문학 아카데미 |
과학기술연구의 인사이트를 인문학으로부터 얻기 위해 인문학적 소양을 강화한다. |
산·학·연 과학기술인 |
소통 아카데미 |
과학기술인의 건전한 직장생활과 활발한 조직문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강화한다. |
산·학·연 소속 과학기술인 |
전문강사인증 과정 |
과학기술계 강사 양성ㆍ인증을 통해 현장 학습 리더 양성 및 과학기술 지식의 축적 및 공유를 촉진한다 |
출연(연) 사내강사 및 강의능력 수요자 |
EU Innovation 프로그램 |
유럽의 R&D정책 및 글로벌 트렌드를 분석하고 선진국의 연구기획 및 평가 시스템 적용방안을 논의한다. |
산학연 연구자 및 연구관리자 |
한‧중 Advanced Research 프로그램 |
중국의 과학기술 환경 이해 및 우수 연구기관 벤치마킹으로 상호협력방안을 확보한다.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지원 관계자 |
미국 SV Insight 프로그램 |
실리콘밸리 방문을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및 현지 전문가, 투자자 등의 멘토링을 통해 사업전략을 수립한다. |
패밀리기업 CEO 및 CTO, 해외사업 담당자, 출연(연) 담당자 |
연구직 |
디지털 전환 마인드업 |
디지털 전환 성공·실패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접근전략을 수립하고 현업적용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
산학연 소속 과학기술인 |
디지털 전환 스킬업 |
학습자 수준 및 선호 학습내용에 따른 국내외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하고, 학습조직을 통해 관심분야를 자율적으로 학습한다. |
산학연 소속 과학기술인 |
디지털 전환기술 적용 |
실제 연구에 적용할 알고리즘 설계 및 데이터 분석 실습과 전문가·교육생 간 Peer Review 실시를 통해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을 강화한다. |
바이오 유관 분야 산학연 소속 연구자 |
R&D전주기 아카데미 |
국가연구개발사업 프로세스 전반을 이해하고, 제안서 작성 등의 노하우 습득을 통해 연구수행 전문성을 강화한다. |
산·학·연 소속 과학기술인 |
연구데이터 분석 아카데미 |
연구데이터 기반 통계분석 활용 방법 학습을 통해 빅데이터 시대 통계 툴을 완전 정복한다. |
출연(연) 및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
연구행정직 |
사업관리 과정 |
사업관리의 모든 이슈 해결법을 찾기 위해 사업관리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한다. |
출연(연) 및 연구관리 담당 부서장 및 실무자 |
감사전문가 과정 |
공공연구기관 감사정책 및 기법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사례를 통해 감사대응 실무능력을 함양한다. |
출연(연) 및 연구기관 감사부서장, 중견급 실무자 |
전략형 TLO양성 입문과정 |
IP-R&D 전주기별 주요 사례의 파악과 기술이전 이슈 숙지로 전략적인 업무 수행을 준비한다. |
산학연 기술이전 관련 연구관리자 |
전략형 TLO양성 심화과정 |
연구성과 확산 단계별 핵심 실무내용 파악과 협상 실습 및 국내외 시스템 비교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한다. |
산학연 기술이전 업무경력 3년 이상의 연구관리자 |
예산기획 과정 |
전략적 사업기획 및 예산 관리를 위해 주요 현업이슈를 이해하고, 대내외 대응 능력을 함양한다. |
출연(연) 및 산학연 경영·전략기획 및 예산관리 경력 5년 이하 담당자 |
세무회계 과정 |
출연(연) 세무·회계 실무에 대한 이해와 실습을 통해 현업에서의 업무능력을 제고 한다. |
출연(연) 세무·회계 관련업무 보직자 및 담당자 |
과학기술 홍보 과정 |
기관 및 연구성과 홍보를 위한 실무 업무의 정확한 이해와 최신 동향을 파악하여 직무 수행 역량을 강화한다. |
출연(연) 홍보 실무자 및 부서장 |
인적자원관리 과정 |
공공연구기관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현안 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출연(연) HR부서 보직자 및 담당자 |
조직문화혁신 과정 |
조직문화 현안파악 및 전략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최적의 연구성과 도출을 위한 조직문화 혁신방향을 수립한다. |
출연(연) 조직문화 담당 부서장 및 실무자 |
교육담당자 퍼실리테이터 과정 |
과학기술계 교육 담당자의 직무역량 강화와 비대면 교육과정 수행능력 및 학습촉진 역량을 함양한다. |
과학기술계 교육 담당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