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국가R&D 리얼챌린지 프로그램 개발‧운영 방안
- 이공계 대학원생 모의기획 참여를 통한 R&D 실무역량 향상 필요
- 이공계 대학원생 역량분석 및 타 기관 벤치마킹을 통한 리얼챌린지 프로그램 운영방안 제시
|
|
2 |
- 세종스쿨 구축‧운영 방안(실시간 온라인 역량강화 아카데미)
- 기존 단방향 강의위주 교육방법을 탈피한 참여형 온라인 실시간 교육 도입 필요
- 국내외 실시간 온라인 교육 현황 분석 통한 교육과정 운영·관리방안 도출
|
|
3 |
- 실시간 온라인교육 플랫폼 개념설계 방안
- 교수자-학습자 간 양방향 화상강의를 통해 참여형 학습환경 구축 필요
- 학습자 참여 중심 교육 확대 및 피드백 기회 제공으로 학습만족 제고
|
|
4 |
- 출연(연) 리더십 교육과정 개발‧운영 방안
- SDF 기반 교육체계 확립에 따라, 리더십·공감 역량의 통합적 개발을 위한 출연(연) 교육과정 개선
- SDF 기반 통합역량 중심의 5개 과정 커리큘럽 개선(안) 도출
|
|
5 |
- 정책입안자 교육과정 개발‧운영 방안
- 과학기술 환경변화 대응 및 R&D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입안자 전문성 강화 필요
- 정책입안자 필요역량 도출 및 직무·직급별 교육과정 개발
|
|
6 |
- 찾아가는 협력교육 개선방안
- 수요자 편의성 증진을 위한 추진체계 및 운영방식 고도화 필요
- 찾아가는 협력고육의 추진체계, 교육방법, 윤영 및 사후관리 체계 보완
|
|
7 |
- 교육만족도 및 수요조사 통합체계 구축 방안
- 수요 맞춤형 교육 및 경력개발 서비스 제공 필요성 증대에 따라 수요조사 체계화
- 기관 내부 다양한 고객 대상 조사들을 통합·효율화하고 환류 체계 구축
|
|
8 |
- KIRD 교육과정 평가체계 개선방안
- KIRD교육과정의 교육효과 검증 및 품질제고를 위해 평가체계의 전반적 개선 필요
- 교육 평가체계 구축, 운영방안, 연간계획 수립 등을 통해 통합 평가체계 마련
|
|
9 |
- 전문강사 후보 발굴 및 활용 방안
- KIRD교육사업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강사 발굴‧관리 필요
- 대외인지도, 전문성, 활용성 등의 평가기준 개발 및 모니터링 프로세스 구축, 활용‧관리방안 수립
|
|
10 |
- 교육이력 추적관리 체계 구축(KIRD 회원 및 교육생 정보관리 체계)
- 출연(연) 연구자의 교육이력 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 수강이력 비교, 교육과정 분석기능 등 교육이력관리 시스템 설계(안) 도출
|
|
11 |
- KIRD 교육과정 국제인증 취득 방안
- 미래 성장원천 마련을 위한 국제 수준의 과학기술 인력양성 교육·품질체계 구축 필요
- 국제인증 현황 및 유관기관 취득사례 분석을 통한 KIRD 국제인증 취득방안 제시
|
|
12 |
- 인재개발 컨설팅 사업 개선방안
- 컨설팅 수요 대응을 위해 기존 자문 제공 컨설팅을 사업화할 필요성 대두
- 6개 컨설팅 분야를 선정하여 수행방안 마련하고, 매칭펀드 기반 지원사업 설계
|
|
13 |
- 2018년 글로벌교육 시행계획(안)
- KIRD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교육의 안정적인 정착과 체계적인 추진 도모
- 추진체계 확립 및 교육과정 개선방안 제시를 통한 글로벌 교육협력 활성화 기반 마련
|
|
14 |
- 과학기술인력 경력개발체계 구축방안
- 미래사회 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차원의 과학기술인 경력개발지원 필요성 대두
- 경력진단-교육-관리로 이어지는 K-클럽 서비스 설계 및 KIRD내 전담기구 설립
|
|